OS13 WSL2 비밀번호 재설정 WSL2 에서 root 등 계정의 비밀번호 잊어버렸을 때 재설정하기1. cmd 관리자 권한 실행2. 비밀번호 변경할 계정으로 진입wsl -u [계정]wsl -u root3. 비밀번호 변경passwd4. 비밀번호 재입력5. exit 명령어로 빠져나오기6. 비밀번호 확인 2025. 2. 10. Windows 에서 WSL2 환경에 접근 Windows 와 WSL2WindowsWSL2WindowsLinuxWindows ➡️ WSL2 환경에 접근1. 우분투 터미널 실행 후 explorer.exe . 입력explorer.exe . 2. WSL2 환경의 현재 디렉토리 확인WSL2 ➡️ Windows 환경에 접근우분투 터미널에서 명령어로 접근해야 함ex) Windows 의 D 드라이브에 있는 txt.txt 파일을 Linux 의 현재 디렉토리로 복사하기 Windows source 경로/mnt/[drive]/[folder]/.../[file] 2025. 2. 10. [Linux] ls 명령어 lslist 줄임말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 확인하는 명령어 형식ls [OPTION] [File] 특징디렉토리 지정하여 파일 목록 출력 가능옵션 사용해야 숨김 파일 확인 가능디렉토리 생략 시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 출력 옵션ls -arltharlth: 모든 파일, 폴더를 시간 역순으로 출력하는 명령어 2025. 1. 20. [Linux] Shell Shell 명령어 처리기(Command Processor) 커널과 사용자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 직접 명령, 프로그램 및 shell 스크립트를 실행 Linux OS의 가장 안쪽 핵심은 커널 커널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인식하고 실행할 수 있는 창 역할 Linux OS의 가장 바깥쪽은 Shell shell 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명령을 받고 처리를 위해 커널로 보낸 다음 다시 사용자에게 응답을 반환 OS 내부를 감싸고 외부 손상으로부터 직접 보호하기에 Shell Shell prompt $ = shell 에서 표시되는 명령 프롬프트 명령과 프로그램을 작성 및 실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첫 번째 단어를 읽고 명령을 해석 = Enter 키를 누른 후에만 명령을 읽음 Shell 종류 Bourne.. 2023. 6. 13. 운영체제 - 반효경 #8 Memory Management # 8-1 Memory Management 1 Logical vs. Physical Address 메모리 주소 통해 접근하는 매체 주소가 매겨지는 것으로, 이 주소를 논리적 주소 / 물리적 주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음 논리적 주소 가상 주소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0번째부터 주소 할당 물리적 주소 메모리의 어디에 프로그램이 올라가느냐 1개의 물리적 주소가 존재하고, 이 안에서 통으로 관리됨 주소 바인딩 프로그램 실행 시 독자적 주소 공간이 생성됨 프로그램마다 0번부터 시작되는 독자적 주소가 있는데, 이게 실행되려면 물리적 메모리의 어딘가로 올라가야 하고, 그러면 주소가 바뀌게 됨 = 주소 변환 = 주소 바인딩 = 주소 결정 Symbolic address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프로그래밍하지는 않음 메모리의.. 2023. 5. 16. 운영체제 - 반효경 #7 Deadlock # 7-1 Deadlock 1 교착상태 데드락 = 교착상태 = 더 이상 방법이 없는 상황 The Deadlock Problem Request = 자원 요청 Allocate = 자원 획득 Use = 자원 사용 Release = 자원 반납 Deadlock 발생의 4가지 조건 4가지 조건 모두 만족해야 함 Mutual exclusion = 상호 배제 = 독점 No preemptive = 비선점 = 빼앗기지 않음 Hold and wait = 보유대기 = 자발적으로 가지고 있음 Circular wait Resource-Allocation Graph P = process R = resource 자원 ➡️ 프로세스 화살표 = 이 자원이 이 프로세스에 속해있다, 이 프로세스가 이 자원을 가지고 있다 프로세스 ➡️ 자원.. 2023. 5. 16. 운영체제 - 반효경 #6 Process Synchronization # 6-1 Process Synchronization 1 Initial Attempts to Solve Problem 공유 데이터에 그냥 접근하게 할 순 없지 공유 데이터에 접근하기 전, entry section 만들어서 lock 걸고 Critical section 끝나면 exit section 으로 unlock 프로그램적 해결법의 충족 조건 Mutual exclusion 여러 프로세스 동시 접근 불가하게 모든 프로세스의 접근을 막음 Progress Mutual exclusion 을 잘못 구현하면 아무도 critical section 에 없는데 어떤 프로세스도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음 Progress는 위 문제 발생하지 않도록, critical section이 비어있을 때 한 프로세스가 사.. 2023. 5. 13. 운영체제 - 반효경 #5 CPU Scheduling & Process Synchronization # 5-1 CPU Scheduling CPU Scheduler & Dispatcher CPU Scheduler Ready 상태의 프로세스를 통해 이번에 CPU 쓸 프로세스 선택 Dispatcher CPU Scheduler 에 의해 선택된 프로세스에게 CPU 제어권을 넘김 = Context switch = 문맥 교환 CPU 스케줄링이 필요한 경우 = 프로세스에게 아래와 같은 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 Running ➡️ Blocked (ex. I/O 요청하는 시스템콜) Running ➡️ Ready (ex. 할당 시간 만료로 timer interrupt) Blocked ➡️ Ready (ex. I/O 완료 후 interrupt) Terminate 비선점형 선점형 nonpreemptive preemptive 강.. 2023. 4. 10. 운영체제 - 반효경 #4 Process Management # 4-1 Process Management 1 프로세스 생성 부모 프로세스 부모가 자식을 만드는데, 보통 복제 생성 부모 1이 자식 여럿을 만들 수 있음 – 트리 형태 원칙적으로 자식과 자원을 공유하지는 않음 생성된 자식은 부모와 별개의 프로세스 = 경쟁 관계 공유하지 않는 모델이 일반적 부모가 기다리는 = wait = blocked 되는 모델도 있음 자식 프로세스 자식은 부모의 주소 공간을 그대로 복제 운영체제에 있는 데이터인 PCB, 자원 등도 똑같이 복사 이론적으로 이렇게 복제 생성하면 컴퓨터 내의 모든 프로세스는 다 같은 일만 해야 함 그렇기에 일단 복제 후 그 복제된 곳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덮어씌울 수 있음 이렇게 서로 다른 프로그램이 한 컴퓨터에 존재 가능 복제 생성 = fork 시스템콜 복.. 2023. 3. 1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