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ork

회고 및 KPI 작성 가이드

by unknownomad 2025. 9. 17.

개발자 회고 + KPI + 포트폴리오 가이드

1. 목적

  • 단순 감상문이 아니라, 성과·학습·개선점을 구조적으로 기록
  • KPI와 연계해 성장 경로를 확인하고, 포트폴리오 산출물 확보

2. 회고 작성 구조

2.1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명 / 기간 / 팀 규모 / 기술 스택 / 목표
  • 핵심: 프로젝트 전반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간단히

2.2 역할과 책임

  • 본인이 맡은 범위 중심으로 기록
  • 예: 기능 구현, 설계, 문서화, 테스트, 협업
  • 협업 범위: 기획자·프론트와의 API 정의, 검수, 일정 조율

2.3 주요 성과

  • 기능 구현: 로그인/결제/ERP 연동 등
  • 시스템 구조: ERD, API 명세서,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등
  • 핵심: “무엇을 달성했는가” 중심으로 정리, 가능하면 수치 포함

2.4 학습과 성장

  • 새로 습득한 기술/라이브러리, 아키텍처 이해, 도메인 지식
  • 문제 해결 과정에서 얻은 경험

2.5 문제와 개선점

  • 발생 문제: 버그, 비효율 구조, 협업 과정 등
  • 개선 전략: 테스트 코드 작성, 문서화 습관화, 구조 개선 등

2.6 포트폴리오 연결 포인트

  • 문서화 가능한 산출물: ERD, API 명세서, 기능 정의서, 코드 샘플
  • 핵심 기능 중심으로 선택

3. 개인 KPI 기록

영역 목표/지표 달성 기준 비고
기술 역량 신규 기술 학습, 구조 이해 적용 완료 여부 Kafka, JPA, REST API 등
기능 구현 핵심 기능 완성 기능 정상 동작 로그인, 결제, 데이터 적재 등
문서화 ERD, API, 기능 정의서 작성 문서 완성 및 검수 포트폴리오용 자료
문제 해결 버그 대응, 장애 처리 문제 해결 + 재발 방지 코드 수정, 로그 분석
협업 기획/프론트와 커뮤니케이션 요구사항 반영, 일정 준수 회의 기록, 검수 참여
생산성/효율 일정 내 핵심 기능 구현 계획 대비 진척률 주 단위 마일스톤 관리
포트폴리오 가치 산출물 확보 코드/문서 완성 블로그, GitHub 활용

KPI 작성 팁

  • 단답형 / 객관적 기록: 감정 배제, 결과 중심
  • 수치나 완료 기준 명시: 처리 속도, 테스트 통과, API 호출 횟수 등
  • 현실적 목표: 하루/주 단위, 핵심 기능 중심
  • 회고와 연계: 달성 여부 → 다음 프로젝트 학습 포인트로 연결

4. 작성 순서 & 활용 전략

  1. 회고 작성 → KPI 기록 → 포트폴리오 연결
  2. KPI 달성 기록은 회고 작성 시 근거 자료로 활용
  3. 문서화·코드 산출물과 연계해 포트폴리오에 자연스럽게 포함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자주 쓰는 단축키  (0) 2025.04.02
[Work] 유지 보수, 하자 보수  (0) 2021.11.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