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디렉토리 및 파일 작업
#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
mkdir <디렉토리명>
mkdir files
# 디렉토리 이동
cd <디렉토리명>
cd files
# 파일 생성 및 편집
vi <파일명>
vi index.html, vi Dockerfile
도커 이미지 및 컨테이너 작업
1. 이미지 빌드
docker build -t <이미지명>:<태그> <빌드 컨텍스트>
docker build -t nginx:2.0 .
- -t는 이미지 이름과 태그를 설정
- . 은 현재 디렉토리에서 Dockerfile을 찾음
- nginx: 이미지 이름
- 2.0: 태그
2.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d -p <로컬포트>:<컨테이너포트> --name <컨테이너명> <이미지명>:<태그>
docker run -d -p 9090:80 --name webserver nginx:1.0
-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 -d는 detached 모드
- -p는 포트 맵핑
- --name은 컨테이너 이름을 지정
- 9090:80: 로컬 9090 포트를 컨테이너의 80 포트에 맵핑
- webserver: 컨테이너 이름
3. 컨테이너 상태 확인
# 실행 중인 컨테이너 목록 확인
docker ps
4. 컨테이너 중지 및 삭제
# 컨테이너 중지
docker stop <컨테이너명>
docker stop webserver
# 중지된 컨테이너 삭제
docker rm <컨테이너명>
docker rm webserver
5. 이미지 삭제
docker rmi <이미지명>:<태그>
docker rmi nginx:1.0
6. 도커 이미지 확인
# 로컬에 저장된 이미지 목록 확인
docker images
7. 컨테이너 로그 확인
# 컨테이너의 로그 출력
docker logs <컨테이너명>
docker logs webserver
핵심 추가 명령어
# 실행 중인 컨테이너에 접속하여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docker exec -it <컨테이너명> <명령어>
# 컨테이너에 접속하여 bash 셸을 실행
docker exec -it webserver bash
# 실행 중인 컨테이너에 접속하여 명령어 실행
docker exec -it <컨테이너명> <명령어>
# 컨테이너에 접속하여 bash 셸을 실행
docker exec -it webserver bash
# 컨테이너 또는 이미지의 세부 정보 확인
docker inspect <컨테이너명>
# 도커 네트워크 목록 확인
docker network ls
Reference: https://dockerlabs.collabnix.com/docker/cheatsheet/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버스 프록시, 로드 밸런서 (1) | 2025.03.20 |
---|---|
도커(Docker), 쿠버네티스(K8S), CI/CD (0) | 2025.03.01 |
[Docker] RUN vs COPY (0) | 2024.07.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