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rontend

[JS] 문자열 ➡ 배열로 변환(split)

by unknownomad 2022. 2. 9.

split() 함수

//문법
String.split(separator, limit)

1. 정의

문자열(String)을 구분자(separator)로 잘라서 제한된 크기(limit) 이하의 배열에 잘라진 문자열을 저장 후 반환

 

2. 역할

2.1. separator

  • 필수 X
  • 문자열 자를 구분자(문자열 or 정규식)
  • 값이 입력되지 않으면 문자열 전체를 배열에 담아 반환

2.2. limit

  • 필수 X
  • 최대 분할 개수

[예제1] 매개변수 입력 X

  • 매개변수 전달값이 없을 시, length = 1 인 배열에 문자열 전체를 통째 저장
const str = "apple banana orange";
const arr = str.split();

document.writeln(arr); // apple banana orange
document.writeln(arr.length); // 1

[예제2] 단어 별로 잘라서 배열에 담기(separator = " ")

  • separator로 " "(스페이스) 지정 시, 문자열을 해당 구분자(여기선 공백)로 자른 값 담은 배열 반환
const str = "apple banana orange";
const arr = str.split(" ");

document.writeln(arr.length); // 3
document.writeln(arr[0]); // apple
document.writeln(arr[1]); // banana
document.writeln(arr[2]); // orange

[예제3] 글자 별로 잘라서 배열에 담기(separator = "")

  • separator로 ""(length가 0인 문자열) 지정 시, 문자열을 각 문자 별로 자른 뒤 한 글자씩(공백 포함) 담은 배열 반환
const str = "a b c";
const arr = str.split("");

document.writeln(arr.length); // 5
document.writeln(arr[0]); // a
document.writeln(arr[1]); // ' ' (space)
document.writeln(arr[2]); // b
document.writeln(arr[3]); // ' ' (space)
document.writeln(arr[4]); // c

[예제4] 특정 구분자로 잘라서 배열에 담기

  • separator(여기서는 ",") 지정 시, 문자열을 해당 구분자로 자른 값 담은 배열 반환
const str = "apple,banana,orange";
const arr = str.split(",");

document.writeln(arr.length); // 3
document.writeln(arr[0]); // apple
document.writeln(arr[1]); // banana
document.writeln(arr[2]); // orange

[예제5] limit 값 지정하기

  • 두 번째 매개변수인 limit 값 지정
  • 문자열을 ","로 자르면 length = 3 인 배열이 만들어지나, limit 값을 2로 지정했기에 length = 2 까지 문자 값 담은 배열 반환
const str = "apple,banana,orange";
const arr = str.split(",", 2);

document.writeln(arr.length); // 2
document.writeln(arr[0]); // apple
document.writeln(arr[1]); // banana
document.writeln(arr[2]); // undefined

 


출처 : https://hianna.tistory.com/37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