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
정의
- copy
- 파일 or 디렉터리 복사(그 안의 내용도 포함)
- 데이터 백업 시 유용하게 사용 가능
문법
cp [원본경로] [복사할경로]
cp [옵션] [원본경로] [복사할경로]
- 경로 미지정 시 현재 위치가 default
- 복사할 때 새로운 이름 지정 가능
예시
cp [file1] [file2]
- file1을 file2라는 이름으로 복사
- 이때의 file1, file2는 경로 포함
cp [file1] [directory]
- file1을 directory의 하위 파일로 복사(이때 복사된 파일의 파일명 = file1)
cp [file1] [file2] [file3] [directory]
- file1, file2, file3을 directory 하위로 복사(여러 파일 가능)
cp -r [directory1] [directory2]
- directory1의 모든 파일을 directory2의 하위로 복사
자주 사용하는 옵션
- -a (all)
- 원본 파일의 속성, 링크 정보 모두 복사
- -b (backup)
- 복사할 파일 이름이 이미 존재하면 백업 파일 생성
- -f (force)
- 복사할 파일 이름이 이미 존재하면 강제로 덮어쓰기
- -i (interactive)
- 복사할 대상이 이미 있으면 사용자에게 덮어쓰기 여부 물음
- -p (preserve)
- 원본 파일의 소유자, 그룹, 권한 등 정보까지 모두 복사
- -r (recursive)
- 원본이 파일이면 그냥 복사되고, 디렉터리면 디렉터리 전체(하위 포함)가 복사됨
- -u (update)
- 복사할 대상이 있을 때, 날짜가 같거나 더 최신 것이면 복사 x
- -v (verbose)
- 복사 진행 상태 출력
mv
정의
- move
- 파일 or 디렉터리 이동시킬 때 사용
- 파일 이름 변경할 때 사용
문법
mv [원본경로] [이동할경로]
mv [옵션] [원본경로] [이동할경로]
- 경로 미지정 시 현재 위치가 default
- 이동시킬 때 새로운 이름 지정 가능
예시
mv [file1] [directory]
- file1을 directory 하위로 이동
mv [file1] [file2] [file3] ... [directory]
- file1, file2, file3, ... 을 directory 하위로 이동
mv [directory1] [directory2]
- directory1을 directory2로 이동
mv [file1] [file2]
- file1의 파일명을 file2로 변경
자주 사용하는 옵션
- -b (backup)
- 이동할 파일 이름이 이미 존재하면 백업 파일 생성
- -f (force)
- 이동할 파일 이름이 이미 존재하면 강제로 덮어쓰기
- -i (interactive)
- 이동할 파일 이름이 이미 존재하면 덮어쓰기 여부 물음
- -n (no-clobber)
- 이동할 파일 이름이 이미 존재하면 덮어쓰기 하지 않음
- -v (verbose)
- 이동 진행 상태 출력
rm
정의
- remove
- 파일 or 디렉터리 삭제
- 파일 복구가 힘들기에 주의 필요
문법
rm [삭제할경로]
rm [옵션] [삭제할파일/디렉터리]
- 경로 미지정 시 현재 위치가 default
- 디렉터리 삭제할 때
rm -r [삭제할디렉터리]
- 디렉터리는 내부에 파일 존재하면 삭제 불가
- rm -r [삭제할디렉터리] 해야 디렉터리 삭제 가능
- 여러 개의 대상 삭제할 때
rm *.jpg -- .jpg로 끝나는 모든 파일 삭제
rm * -- 모든 파일 삭제
rm [file1] [file2] [file3] ... -- 여러 개 파일 삭제
rm -rf * -- 현재 위치에 속한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 삭제(삭제 여부 묻지 않고 즉시 삭제하기에 주의 필요)
자주 사용하는 옵션
- -d (delete)
- 비어있는 디렉터리만 삭제
- -f (force)
- 강제로 파일이나 디렉터리 삭제하고, 대상이 없는 경우 메시지 출력 x
- -i (interactive)
- 매번 삭제할 때 삭제 여부 물음
- -l (list?)
- 3개 이상의 파일 삭제할 때 or 디렉터리 내부가 비어있지 않을 때 삭제 여부 물음
- -r
- 디렉터리 통째로 지울 때 사용
- -v (verbose)
- 삭제 대상의 정보 출력
출처
https://kyeonghyeon86.tistory.com/53
https://coding-factory.tistory.com/750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2 비밀번호 재설정 (0) | 2025.02.10 |
---|---|
Windows 에서 WSL2 환경에 접근 (0) | 2025.02.10 |
[Linux] ls 명령어 (0) | 2025.01.20 |
[Linux] Shell (0) | 2023.06.13 |
댓글